본문 바로가기
JAVA

[JAVA] Chapter 2. Variable & Data Type

by varcode 2023. 7. 2.
반응형

변수와 상수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공간에 붙여진 이름을 의미하며 개발자가 특정한 값을 반복해서 사용하고 싶을 때 선언한다.
int a = 10
에서 int는 데이터 타입, a는 이름, 10은 정수형 상수이다.

변수와 상수는 모두 프로그래밍에서 값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지만,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특성이 다르다.

C에서는 상수를 선언하고 싶을 때 const를 붙이고 java에서는 final 키워드를 붙인다.
상수는 개발자가 선언하여 이름을 가지고 있는 상수와 10처럼 값만을 가지고 있는 상수(literal)로 나뉜다.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종류, 크기는 개발자가 반드시 정리하고 있어야 하는 항목이다.

데이터 타입 종류 메모리 크기 표현 가능 범위
boolean 논리형 1 byte true, false
char 문자 2 byte 유니코드로 모든 글자를 표현
byte 정수 1 byte -128 ~ 127
short 2 byte -32768 ~ 32767
int 4 byte -2147483648 ~ 2147483647
long 8 byte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float 실수 4 byte ±1.4 X 10-45 ~ 3.40 X 1038
double 8 byte ±4.97 X 10-324 ~ 1.79 X 10308

 C언어는 아스키코드를 사용하지만 java는 유니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영어와 한글 모두 2 byte이다. 정수는 int, 실수는 double 타입이 기본이며 long 보다 큰 정수 타입은 BigInteger 클래스, double보다 큰 실수는 BigDecimal 클래스를 사용한다.

 

음의 정수
컴퓨터는 보수를 사용하여 음의 정숫값을 나타낸다. X에 대한 y의 보수란, x에 얼마를 더해야 y가 되는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에 대한 10의 보수는 8, 4에 대한 10의 보수는 6이다.

컴퓨터에서 양수 n을 음수로 표현하려면 1) n을 이진수로 변환한 후 2) 1의 보수를 구한다. 1의 보수는 0 1 bit를 뒤집는 것으로 쉽게 구할 수 있다. 그 후 3) 2의 보수를 구하면 n의 음의 정수를 구할 수 있는데,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하는 것으로 구할 수 있다.

, 양수 값을 이진수 x로 나타낸 후 ~x + 1을 하면 음수를 구할 수 있다.

 

진수
0x으로 시작하면 16진수, 0으로 시작하면 8진수, 0B으로 시작하면 2진수이다.

 

반응형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Chapter 6. Method  (0) 2023.07.06
[JAVA] Chapter 5. Control  (0) 2023.07.05
[JAVA] Chapter 4. Operator  (0) 2023.07.04
[JAVA] Chapter 3. Type Conversion  (0) 2023.07.03
[JAVA] Chapter 1. What is JAVA?  (0) 2023.07.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