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3

[JAVA] Chapter 7. Class (1) ① Class의 개념 Step 1. Object modeling, 설계를 위한 생각 구현하고자 하는 객체를 속성과 기능으로 나누어 설계한다. ※ Object modeling은 속성과 기능을 정의해야 하기 때문에 domain knowledge가 없으면 설계할 수 없다. Step 2. 클래스 클래스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와 같은 개념이다. 클래스는 객체의 속성(변수)과 기능(메서드)을 정의하며, 객체의 데이터 타입을 정의한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이라고 볼 수 있다. Step 3. 인스턴스 인스턴스란 객체를 생성한 후, 해당 객체를 가리키는 참조 변수를 의미한다. 인스턴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new 연산자로 생성된 것을 가리키는 변수로서, 인스턴스를 통해 해당 객체의 변수 메서드를 사.. 2023. 7. 7.
[JAVA] Chapter 6. Method ① 메서드 자바에서 메서드(Method)는 클래스 내에서 기능을 구현한 코드 블록이다. 메서드는 클래스 내에서 여러 번 호출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를 재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준다. 메서드는 반환 타입, 메서드 이름, 매개변수 리스트, 내용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메서드 이름과 내용은 필수이고 반환 타입과 매개변수는 선택사항이기 때문에 반환 값은 없거나, 1개이다. return 문이 사용되면 그 자리에서 메서드는 종료되고 반환 값을 반환하는데 메서드는 값을 1개까지만 반환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개를 반환하고 싶은 경우에는 반환 타입을 배열로 작성해서 배열을 반환한다. 메서드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메서드 이름과 파라미터 개수가 같아야 하며 메서드를 호출할 때 파라미터는 call by va.. 2023. 7. 6.
[JAVA] Chapter 5. Control 제어문(control statement)은 프로그램에서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명령문으로,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하거나 반복 실행하는 등의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자바에서는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s), 반복문(Loop statements), 분기문(Branch statements)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한다. 조건식이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에 따라 실행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조건식에는 관계연산자와 논리연산자가 올 수 있다. ① 선택문 - if : 조건식이 참인 경우에만 코드 블록을 실행한다. - if-else : 조건식이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 각각 다른 코드 블록을 실행한다. - switch : 변수의 값에 따라 실행할 코드 블록을 선택한다. - 삼항 연산자.. 2023. 7. 5.
[JAVA] Chapter 4. Operator 연산자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했다면 어렵지 않다. 간단하게 살펴보자. 1. 대입 연산자 : = 2. 산술 연산자 : +, -, *, /, % - 몫(/)과 나머지(%)는 정수일 때만 몫과 나머지가 나뉜다. 3. 복합 대입 연산자 : +=, -=, *=, /=, %= 4. 관계 연산자 : , =, ==, != 5. 논리 연산자 : &&, ||, ! - 연산의 결과가 true, false로만 출력된다. - &&에서 앞 조건이 false이거나 ||에서 앞 조건이 true 이면 뒤의 조건은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뒤의 조건에서 변화를 주어도(ex 복합 대입) 반영이 안된다. - 수식에 값을 수정하는 로직이 있는 경우 피연산자에는 수식 자체가 아닌 수정을 모두 진행한 후의 결괏값을 쓰는 것을 권장한다. - .. 2023. 7. 4.